반응형 관절건강관련정보68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 있는 경우 피해야 할 운동 반복적인 굽힘, 물건들기, 층격이 가해지는 움직임을 포함하는특정 운동은 디스크의 증상을 악화시킵니다.이러한 증상중에는 허리통증, 좌골 신경통, 요추 신경근 병증이있습니다. 요추 디스크 탈충증이 있는 경우 피해야 할 운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Good Morning Exercise 피하기요추 디스크 탈출증이 있는경우 Good morning Ex 는 통증을 악화시키고 잠재적으로 증상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특히 허리를 굽히는 잘못된 자세를 사용하게 되면 L5~S1탈출증의 위험이 중가합니다.Good Morning Ex 대신 Waiter's Bow를 시도하면 좋습니다 Waiter's Bow는 허리, 엉덩이, 허벅지 뒷부분의 근육을 활성화시키며 무게를 사용하지 않아 디스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와부.. 2024. 7. 9. 회전근개 파열에 대한 4가지 스트레칭 및 운동방법 회전근개 파열이 있는 경우 어깨근력과 운동범위를 회복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어깨 회복을 위한 운동과 스트레칭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진자스윙(Pendulum swing Exercise)진자스윙 운동은 관절을 풀어주고 어깨 통증을 완화시켜줍니다. 1. 테이블, 의자, 난간 옆에서서 정상쪽 팔의 손을 안전하게 올려줍니다.2. 등을 구부리지 않고 부드럽게 앞으로 몸을 기울이고 아픈팔을 밑으로떨어뜨린후 몸의 반동과 함께 팔을 앞뒤로 움직입니다.3. 같은 자세 유지하면서 팔을 안쪽, 바깥쪽으로 움직입니다.4. 같은 자세에서 몸을 같이 움직여 주면서 팔로 작은 원을 그려줍니다.시계방향, 반시계방향 둘다 해주세요.2. 크로스오버 암 스트레칭1. 어깨 이완후 아픈팔을 가슴을 가로질러 턱 밑으로 최대한 뻗으세요.. 2024. 7. 6. 무릎 골 관절염과 반월상연골판 파열 증상의 차이 이번에는 무릎 골 관절염과 반월상 연골판 증상의 차이점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무릎 골 관절염과 반월상 연골판의 파열은 무릎에 통증과 붓기를유발하는 질환입니다.관절염과 반월상 연골판 파열을 구별하는 것은 증상과 증후가 비슷한 점이 있기때문에구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두 증상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무릎 골 관절염과 반월상 연골판의 차이점1> 무릎 골 관절염 무릎 골 관절염은 무릎 관절을 감싸고 무릎의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관절 연골의점진적인 퇴화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관절 연골의 퇴행은 무릎 관절의 마찰과 염증을 증가시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골 관절염은 관절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관절낭반월상연골판, 힘줄을 포함한 다른 구조의 퇴화를 유발합니다. 골 관절염은 연령과 관련된마모에 인해 .. 2024. 6. 26. 하지(발목, 무릎) 수술 후 올바른 목발 사용법 안녕하세요. 이번포스팅은 무릎이나 발목 수술후 올바른 목발 사용범에 대해포스팅 해보겠습니다. 무릎이나 발목 수술 후 에는 목발을 사용해야 하는데 목발의 높이, 정확한 목발 보행을 해야 몸에 부담없이 생활할 수 있습니다. 1. 목발의 높이첫번째로 팔을 쭉 뻗은 상태에서 목발을 편하게 쥘수 있게 해주고, 팔꿈치 구부려지거나 어깨가 올라가면 안됩니다. 그리고 팔은 쭉 뻗어줘야 합니다.두번째는 목발을 겨드랑이에 껴서 체중을 목발에 지지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으신데 겨드랑이에 끼운 상태에서 체중을 지지하면 극상근이나 다른 어깨질환이 발생할 수 있고, 겨드랑이 밑으로 지나가는 액와 신경이 눌려 감각이상이올수도 있기 때문에 체중을 지지하면 안되고 겨드랑이 부터 목발까지 손가락 두개정도의간격을 둬서 목발을 사.. 2024. 6. 15. 견갑골 아래 통증의 7가지 원인 견갑골의 아래 또는 근처에 통증이 있으면 팔 움직임이 제한되고 일상 생활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이 통증은 척추와 견갑골 사이 등 날카롭거나 타는 듯한 통증부터 어깨나 등 위쪽에 걸쳐 있는 통증까지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이런 통증의 원인을 아래에 설명하겠습니다.1. 잘못된 자세 좋지 않은 자세로 오랫동안 앉아 있으면 척추에 구조적인 변화개 생겨 견갑골 아래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책상에서 작업하거나 휴대폰으로 책을 읽는 동안 등을 구부리거나 머리를 숙이거나한쪽 방향으로 앉아 있으면 근육이 약화되고 척추 디스크, 근육 및 인대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이러한 일상적인 불균형은 허리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2. 잘못된 들기 기술잘못된 자세로 무건운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척추가 어긋난.. 2024. 1. 20. Foot drop(족하수) 이란? 풋 드롭은 발 또는 발가락을 위쪽으로 들어 올리려고 할때(배측굴곡) 약해지는 느낌입니다. 풋 드롭은 일반적으로보행시 영향을 받은 발의 발가락이 끌리게 됩니다. 이러한 끌림을 보상하기 위해 다리를 평소보다 더 높게 들어올립니다. Foot drop 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증상이 하나 또는 둘다 나타날 때 생깁니다. ● 발 뒤꿈치로 걷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 눈 감고 서 있을때 균형 상실(Romberg's sign) Foot drop은 일반적으로 다리의 특정 근육이 약화되어 발생합니다. 이 근육에는 전경골근, 장무지신근, 장지신근이 있습니다. 이 근육들의 힘줄이 발 또는 발가락읭 뼈에 삽입되어 발이 약해지고 위쪽으로 들어 올리기가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근육의 약화는 신경학적 또는 근육 장애로 인하여 .. 2024. 1. 18.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