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재활전문가5

어깨 견봉하감압술 <ASD> 재활운동 7주차~3개월 어깨 견봉하감압술 이후 7주차 부터 3개월 까지는 정상적인능동 및 관절가동범위 회복에 중점을 두고 점진적으로 재활운동강도는 높여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목표를 두고실시하시면 됩니다. 1. PNF D1, D2 상지 대각패턴운동PNF의 대각선 운동으로 어깨 주변의 근육을 발달시켜줍니다.각 패턴을 정확하고 알맞은 저항강도로 운동하시면 좋습니다. 2. 스캡션스캡션은 극상근의 근력 및 근지구력을 강화하는 운동입니다.선 자세에서 양손에 덤벨이나 밴드를 잡고 견갑골을 가볍게 후인,하강시켜줍니다. 그다음 엄지손가락이 천장을 향하게 한 후 어깨 높이까지들었다 내렸다를 반복해줍니다. 3. 블랙번블랙번은 회전근개, 견갑골의 안정화시키는 근육의 근력, 지구력을 강화시키는 운동입니다. 운동방법은 엎드린 .. 2024. 8. 2.
팔꿈치 외상과염(테니스 엘보) 수술후 재활 1편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팔꿈치 외상과염이 심해져서 수술후 재활방법에 대해알아보겠습니다. 팔꿈치 외상과염 수술같은 경우는 해당부위가 끊어지거나부러진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술후에 재활을 빨리 시작하는 편입니다. 보통 2주~3주차 까지는 부종 및 염증관리, 관절강직 방지, 점진적인 수동 관절범위 운동을 하게 됩니다. 보조기 같은 경우는 주치의 선생님께서 착용하라고 하는 시기까지 착용하시면됩니다. 팔꿈치 외상과염 수술후 재활 포스팅은 주차수를 나누지 않고 쉬운운동부터작서하도록 하겠습니다. ◆ 팔꿈치 외상과염 수술후 재활1. 잼잼운동팔꿈치 부위를 수술했기 때문에 손의 그립이 약해집니다. 잼잼운동을 많이하면그립쥐는 힘도 강하게 만들어주고 순환도 좋게 만들어 줍니다. 2. 팔꿈치 주변 맛사지팔꿈치 외상과염 수술후에는.. 2024. 6. 17.
고유수용성 감각이란?(proprioception)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신체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는 신체능력인 고유수용성 감각에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이것은 관절수술 이후에 회복단계에서 중요한 요소중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유수용성 감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부상이 어떻게 고유수용성 감각을 손상시키는지, 운동을 통한 개선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유수용성 감각은 공간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는 신체의 능력입니다.예를들어 고유수용성 감각을 통해 사람은 눈을 감고 손가락으로 코,입을 만질 수 있습니다. 고유수용성 감각의 다른 예로는 한발로 균형잡기, 눈을 감은상태에서도 부드러운 풀밭인지 단단한 시멘트 위인지 알수 있음 그리고 농구공을 드리블 하면서 달리는 것과 같이 신체가 각 동작에 대해 별도로 생각하지 않고 동시에 동작을 할수있게 .. 2023. 11. 24.
반월상 연골절제 수술후 재활(Meniscus sectomy)2편 이번편은 수술후 2~3주차 이후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이 수술은 이 수술같은 경우 연골판을 절제한 비율에 따라몸 상태의 회복이 더딜수도 있고 빠를 수도 있습니다. 조금 늦다고 걱정하지 마시고 회복이 더딜경우에 쉬운운동부터차근차근 천천히 하셔서 몸상태를 끌어올리시면 됩니다. 수술후 가장조심해야 할 말들중하나가 주변에있는사람들 말입니다. 예를 들어 "나는 수술하고 x주만에 뛰어다녔는데 너는 왜이렇게 회복이 늦냐" 이런말 하시는분들 꼭 한두분씩은 있으실텐데 같은 부위라도 수술방법이라던지 수술 전 몸상태, 증상들이 다 다르기때문에너무 귀담아 듣지 마시고 꾸준히 재활운동 하시면 됩니다. 1. 각도반월상 연골 절제술후 각도는 수술후 1주일 이내에 통증 유무 체크하면서 점진적으로 실행하셔도 됩니다. 방법은 .. 2023. 11. 9.
반월상 연골절제 수술후 재활(Meniscus sectomy) 1편 반월상 연골은 경골과 대퇴골 관절면 사이에 있는 반달 모양의 연골로 내측은C, 외측은O자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반월상 연골은 관절 중심부의 압박을 변연부로 전달함으로써 관절면에 작용하는 하중의 전달및 지지, 충격흡수 기능을 하는 구조물 입니다. 또한 반월상 연골은 대퇴골과 경골의 효율적인접촉면을 증가시킴으로써 관절의 안정성과 일치성을 증가시키며, 윤활작용을 통해 관절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매우 주요한 구조물입니다. 반월상 연골은 여러 가지의 원인에의해 다양한 형태의 손상일 일어날수 있는데 반월상 연골 파열은 연골의 찢어짐을 의미합니다. 반월상 연골의 수술적 치료방법은 크게 절제술과 봉합술로 나뉘는데 혈관분포가 없는 부분은 봉합이 안되기 때문에 절제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또한 반월상 연골을 모두(.. 2023.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