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부 관절와순 전후방 병변, 흔히 SLAP 병변(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lesion)은
어깨 관절의 상부 관절와순에 발생하는 손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손상은 주로 오버헤드
동작을 많이 하는 운동선수나 노동자들에게서 발생하며, 보존적 재활운동을 통해 회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LAP 병변의 보존적 재활운동 시 고려사항과 단계별
치료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1.SLAP 병변 보존적 재활운동 시 고려사항
(1)이두근 수축 주의
이두근의 수축은 관절와순에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으므로 초기 재활 단계에서는 이두근의 직접적인 수축을 피하고, 7주 이후부터 저강도 고빈도의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2)외전 및 외회전 동작 제한
외전 및 외회전 동작은 이두근건에 회전력을 가해 관절와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초기 재활 시 이러한 동작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어깨 뒤쪽 캡슐의 유연성 확보
반복적인 오버헤드 동작으로 인해 어깨 뒤쪽 캡슐이 뻣뻣해질 수 있으므로, 이를 스트레칭하여 유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SLAP 병변 보존적 재활운동 단계별 프로그램
(1) 0~3주
▶ 목표
통증과 염증 감소
▶ 재활방법
- 냉찜질, 초음파, 전기치료 등을 통해 통증 조절
- 과도한 운동은 금지하고,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수동적 운동 실시
- 어깨 뒤쪽 조직을 늘리기 위한 가벼운 슬리퍼 스트레치(sleeper stretch) 수행
- 회전근개 등 어깨 주변 근육의 등척성 운동 실시
- 어깨뼈 안정화 운동(예: Robbery, Inferior glide, Low row) 저강도 고빈도로 수행
(2) 4~6주
▶목표
어깨 가동 범위 회복 및 근력 강화
▶ 재활방법
- 어깨뼈 근육의 협응력 향상을 위한 운동 실시
- 회전근개 근력 강화 운동 시작
- 고유수용성 감각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한 운동 수행
- 이두근 저항없이 가벼운 능동가동범위 운동정도만 시행
(3) 7~12주
▶ 목표
근력 및 기능적 능력 향상(본격적으로 어깨운동 시작)
▶ 재활방법
- 이두근 강화 운동을 저항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시작(저강도 고빈도)
- 기능적 활동을 모방한 운동 프로그램 도입
- 탄력밴드를 이용한 고강도 운동 시작
- 페쇄사슬운동 시작(CKC운동)
(4)13주 이후
▶목표
스포츠 및 일상 활동으로의 완전한 복귀
▶ 재활방법
- 점진적인 활동 복귀 계획 수립
- 강한 근력운동 및 기능운동
- 적극적으로 CKC운동 고유수용성 강화운동
반응형